MACD 지표매매의 원리와 한계(MACD 차트, 시그널 곡선)

MACD 지표매매의 원리와 한계(MACD 차트, 시그널 곡선)

MACD 정의

MACD 이동평균 수렴확산 지수(移動平均 收斂擴散 指數,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약자로, 1970년대 후반에 제럴드 아펠(Gerald Appel) 만든 주가의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여기서 Moving Average 이동평균선을 의미하고, Convergence 수렴(모아지다), Divergence 발산(멀어지다) 뜻합니다. 따라서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이동평균선이 모아지고 멀어지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 MACD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발산 지표로 작용합니다.

MACD를 이용하여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이 수렴과 발산을 반복한다는 점에서 가격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MACD 곡선의 원리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은 기간이 짧을수록 가장 최근의 가격을, 기간이 길수록 이전의 가격까지 반영하는 후행성 지표입니다.

MACD 지표에 사용되는 최근 12일간의 이동평균선이 26일간의 이동평균선보다 선행하는 것입니다.

상승장에서는 12일선(단기 이동평균선) 26일선(장기 이동평균선)보다 위에서 선행할 것이고, 하락장에서는 12일선이 26일선 아래에서 26일선을 선행할 것입니다.

MACD 곡선은 12일선 – 26일선,

MACD 곡선 = 단기 이동평균선(12일선) – 장기 이동평균선(26일선)

MACD 차트의 구성

MACD 차트는 MACD 곡선과 시그널(Signal) 곡선으로 구성됩니다. 여기서 시그널 곡선은 MACD 지표의 이동평균값을 이동평균한 값입니다.

*시그널(Signal) 곡선(9) = MACD 지수 이동평균의 이동평균값

MACD 지표에 시그널 곡선이 보조지표로 작용하는 이유는, 단기 이동평균선(12)과 장기 이동평균선(26) 간의 차이가 큰 시점을 파악하기 위해서입니다. 해당 시점은 대체로 MACD 곡선과 시그널 곡선이 만나는 시점이 됩니다. 아래 그래프를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 

 

MACD 곡선시그널 곡선상승 돌파: 골든크로스 (매수 신호)

MACD 곡선시그널 곡선하향 돌파: 데드크로스 (매도 신호)

MACD 곡선과 시그널 곡선의 교차는 매수와 매도 세력 균형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MACD 곡선이 시그널 곡선을 상승 돌파(골든크로스)하면, 매수 세력이 시장을 주도하여 상승장이 형성되고, 하향 돌파(데드크로스)하면 매도 세력이 시장을 주도하여 하락장이 형성됩니다.

💡 투자 tip: 골든크로스에서 매수, 데드크로스에서 매도

하지만 MACD 곡선과 시그널 곡선이 교차하여 골든 크로스(Golden Cross) 또는 데드 크로스(Dead Cross)를 형성해도, 그 기울기에 따라 신뢰도가 달라집니다.

교차 지점의 기울기가 가파를수록 매매 지표로서의 신뢰도가 높으며, 완만할수록 신뢰도가 낮습니다. 교차 지점의 기울기는 가격의 상승/하락 추세의 강도와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MACD 지표의 한계

MACD 지표는 다른 지표에 비해 직관적이고 성공률이 높기 때문에 선호되는 매매 지표입니다. 하지만 MACD 곡선과 시그널 곡선의 교차가 잦은 횡보장에서는 신뢰할 수 없는 거짓 신호를 빈번히 발생시키기 때문에 단독지표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더하여 MACD 곡선은 단기 이동평균선(12)과 장기 이동평균선(26)의 차로, 급격한 상승이나 하락세는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이 외에도 추세를 거르는 매매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에 단독지표로서의 사용을 지양하길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패턴 분석(Pattern Analysis)의 개념과 매매전략

추세 분석(Trend Analysis)의 개념과 매매전략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